시험 방법 |
부재 종류 |
공칭치수 | 내화시간별피복두께 | 비고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Hr | 1.5Hr | 2Hr | 2.5Hr | 3Hr | 3.5Hr | 4Hr | ||||
내화구조 인정 및 관리업무 세부 운영 지침* |
Beam | 400mm X 200mm | 12 | - | 22 | - | 32 | - | - |
- 비재하 - 양단비구속 - 신청두께보다 10%증가 |
Column | 300mm X 300mm | 12 | - | 22 | - | 32 | - | - | ||
UL 263** | Beam | Min. W8 X 28 | 9 | 13 | 18 | 23 | 27 | 32 | 36 |
- 보와 슬래브를 일체화시킨 구조체를 제작하여 테스트 - 최대 하중 재하 - 양단 구속 (괄호 안은 비구속 두께) - 피복두께와 내화시간 사이의일정한 상관관계 도출 필요 |
(9) | (15) | (20) | (26) | (31) | (36) | (44) | ||||
Column | W6 X 9 | 22 | 30 | 37 | 45 | 52 | 59 | 66 |
- 비열, 밀도, 열전도율을 측정한 Material Properties에의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내화테스트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어야 함 - ![]() |
|
W6 X 12 | 21 | 28 | 35 | 42 | 49 | 57 | 64 | |||
W6 X 16 | 19 | 26 | 33 | 39 | 46 | 53 | 59 | |||
W8 × 28 | 19 | 25 | 31 | 38 | 44 | 50 | 57 | |||
W10 × 49 | 17 | 23 | 29 | 35 | 41 | 47 | 53 | |||
W21 × 73 | 16 | 22 | 27 | 33 | 38 | 44 | 50 | |||
W12 × 106 | 14 | 18 | 23 | 27 | 32 | 37 | 41 | |||
W14 × 233 | 3 | 13 | 17 | 20 | 23 | 27 | 30 | |||
W14 × 730 | 3 | 5 | 5 | 5 | 8 | 10 | 11 |
보 |
1.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체로 제작한 후 1~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내화 테스트을 실시하여 그 결과값이 일정한 경향성을 보여야 한다. 2. 보는 양단이 구속된 상태로 실제 구조체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가하면서 내화테스트를 한다. |
---|---|
기둥 |
1. 국내와는 달리 다양한 사이즈의 기둥에 대해 다른 내화피복 두께를 적용하여 1~4시간 내화테스트를 한다. 2. 피복 재료에 대해 비열, 밀도, 열전도율 등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로 내화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. 3. 실제 내화테스트 결과와 물성 값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가 경향성을 가지며 일치해야만 통과되며 모든 종류의 부재에 대한 피복두께를 산출할 수 있는 공식을 얻을 수 있다. |